맥스(3d Max) QWER에 대해서 알아보자(선택,이동,회전,크기)

  오브젝트를 수정하려면 선택하고 움직이고 회전하고 크기를 수정하여 모델링을 해야 합니다.

Q(선택),W(이동),E(회전),R(크기)은 맥스 모델링의 필수 단축키 입니다.
이것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위쪽 자주 쓰는 기능이 모여있는 툴바를 보시면 Q(선택),W(이동),E(회전),R(크기)에 대한 아이콘이 있습니다.

선택(Q)

>모델링을 함에 있어 선택을 잘 해야 원활한 작업과 결과물이 찌그러지지 않게 잘 나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옵션이 다른 부분에 비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카테고리는 작업 카테고리 분류로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모델링을 할 때 대표적으로 Geometry>3d오브젝트 / Shapes>선(모양)을 많이 선택합니다. 서로 중복 선택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2.목록으로 선택하기는 작업 화면에 있는 것들을 이름으로 선택 할 수 있습니다.위 1번에서 카테고리에 분류된 목록이 아이콘으로 분류 되어있습니다. 보고 싶은 부분만 활성화하여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밑에 이미지에서는 Geometry만 활성화 한 모습입니다.


3.모양 선택툴 입니다.
아이콘을 길게 누르면 선택 모양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를 계속 누르면 차례대로 모양이 바뀌기 때문에 Q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습관이 있으면 선택할 때마다 선택 모양이 바뀌어서 불편할 수 있습니다.
4.Window/Crossing모드 선택 전환
평소에는 Crossing모드로 선택되어있습니다.
클릭하면 Window로 바뀌는데 선택 모양 안에 다 들어와야 선택되는 모드입니다.
선택 모양에 걸친 부분도 같이 선택되는 모드입니다.


이동(W)

> XYZ방향으로 화살표가 있어 오브젝트를 이동 할 수 있는 중심축으로 바뀝니다.
이동 시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싶다면 축 끝의 화살표를 잡고 움직이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회전(E)

>XYZ방향으로 회전하는 축입니다.
밑에 이미지에서는 Z축을 선택하고 있어서 선택한 부분이 노란색으로 활성화되고 안에  Z축이 같이 활성화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추가로 밖에 있는 회색 축은 내가 보는 시점에서 회전하는 축입니다.



크기(R)

>XYZ로 크기를 바꿀 수 있는 축입니다.
밑에 이미지처럼 가운데 삼각 부분이 노란색으로 활성화 되었을 때 클릭+드래그 하면 정비율로 오브젝트 크기를 줄이거나 키울 수 있습니다.
또는 축 끝을 잡고 클릭+드래그 하면 잡은 축의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공통

축의 방향
X축은 빨강(Red)
Y축은 녹색(Green)
Z축은 파랑(Blue)

모든 3D 프로그램에서 축에 대한 색상이 같기 때문에 순서대로 XYZ=RGB로 외우시면 편합니다. 프로그램 마다 기본 축의 방향은 다를 수 있습니다.

축의 크기는 +-키로 조절 할 수 있습니다.

Tip!!

작업창 아래에 있는 X,Y,Z값은 각각의 모드에서 다르게 작용한다.

Move(이동)일 때>오브젝트 중심축의 좌표(위치)를 알 수 있다.
Lotate(회전)일 때>오브젝트 회전 값을 알 수 있다.
Scale(크기)일 때>오브젝트의 크기(비율)을 알 수 있다.

위 수치를 입력하는 부분에서 위아래 화살표에서 마우스 우 클릭을 하면 기본값 0으로 초기화를 바로 할 수 있다.
*주의점>Scale(크기)에서는 0으로 입력하면 안된다.0%로는 오브젝트가 사라지기 때문에 100%가 기본 값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지브러시 단축키(HotKey)설정하기/Ui편집하기

맥스(3d Max) 단축키가 안 먹을 때, 이유와 해결 방법

지브러시(Zbrush) Symmetry(시메트리) 대칭 작업하기